1. 카메라 모드 설정 300D뿐 아니라 CANON DSLR 바디에서는 스트로보 사용시 P모드나, M모드를 사용해야 한다 AV모드의 경우 슬로우싱크로로 동작하므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슬로우싱크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 P모드의 경우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나 M모드를 사용하더라도 조리개 우선방식인것처럼 사용이 가능하므로 아래 5번 방식으로 M모드 사용을 추천한다. 스트로보는 E-TTL모드를 사용하면 된다.
2. FEL의 활용 300D에서 외장 스트로보 사용시 FEL활용이 아주!!! 중요하다. 본인의 경우 스트로보 촬영시 90%이상 FEL을 사용해서 촬영한다. FEL을 사용하지 않고 촬영시 인물과 배경의 노출치가 다르기때문에 인물이 허옇게 뜨거나, 너무 어둡거나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래서 스트로보 사용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FEL을 사용하면 적정 노출을 맞출 수 가 있다.
3. FEL 사용법 <-- 이 부분이 핵심!!! 스트로보 사용시 90%이상이 인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목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인물의 얼굴을 중심으로 노출을 맞추어야 한다. 우선 파인더 상에서 중앙측거점을 촬영하고자 하는 인물의 볼에 맞춘다. 그리고 카메라의 노출고정버튼을 누른다. (엄지손가락 가는 위치에 * <-- 표시된 버튼) 그러면 스트로보가 잠시 번쩍 하면서 사전 발광을 한다. 뷰 파인더 상에 보면 * 모양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모양이 남아 있는 동안 원하는 구도로 변경후 촬영하면 된다. 주의점이라면 사전발광시 피사체가 촬영이 완료된 줄 착각하는 수가 있으니 미리 말을 해놓자. 인물 이외에 정물이나 제품 촬영등에서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질감을 나타내고자 하는 부분에 FEL을 사용하자.
4. 바운스 촬영시도 FEL을 사용하면 되는가?? 바운스 촬영의 경우 더욱더 FEL을 활용해야 한다. 직광촬영의 경우 초점거리에 따라서도 스트로보가 광량을 조절하지만 바운스의 경우 거리에 따른 조정은 되지 않는다. 그래서 E-TTL이 되더라도 거리에 따라 노출언더/오버가 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바운스 촬영의 경우에 FEL을 해 주어야 가까운 거리에서도 오버가 나지않고 적정 노출이 된다. 바운스 촬영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겠다.
5. 스트로보 사용시 일반적인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설정 스트로보 촬영시 셔터스피드는 1/60초로 두는 것이 좋다. (M모드일 경우) 그리고 나서 조리개는 심도표현의 목적에 따라 가변하면 된다. 보통 5.6정도 두면 행사촬영이나 단체사진에서도 무난하게 심도가 확보되고, 인물을 부각시켜 촬영하는등의 상황에 따라 조리개를 4.0이나 2.8등등으로 가변해서 사용하면 된다. 즉 M모드일지라도 셔터스피드는 1/60초로 고정이니 AV모드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개값만 변경해서 촬영하면 되는 것이다. 셔터스피드는 고정하고 조리개만 변경시키면 노출에 차이가 날 것 같지만 스트로보가 E-TTL로 동작하므로 자동으로 광량을 조정하는데다가 FEL을 사용하면 변하는 조리개값에 노출을 더욱 정확하게 맞추어줄 수 있다.
1/60초에서 흔들리는 것이 아닌가 하고 걱정할 수도 있지만 스트로보 촬영시에 셔터스피드는 큰 의미가 없다. 1/60초 일지라도 실제 대부분의 영상이 기록되는 것은 스트로보가 발광되는 짧은 순간이기 때문이다. 물론 특수한 상황(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등)이라면 셔터스피드를 더 빠르게 해서 고속동조등을 사용해야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1/60초면 충분하다. (M모드 사용시 내장 노출계는 무시하자)
6. 스트로보 사용시의 노출결정방식 스트로보 사용시 노출이 결정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노출이 결정되는 방식과는 많이 다르다. 통상적인 경우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조합으로 노출을 결정하지만 스트로보 촬영시에는 그것이 의미가 없다. 보통은 광량(햇빛,전등 등)이 고정이므로 조리개와 셔터스피드를 조합해서 노출을 맞추어야 하지만, 스트로보 촬영의 경우 광량(스트로보)이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에 따라 맞추어지기 때문이다. 조리개는 심도표현의 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셔터스피드는 고속,저속동조외에는 굳이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트로보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이 처음 찍어보시고 어둡게 나오면 조리개를 연다던지, 셔터스피드를 좀 더 느리게 한다던지해서 노출을 맞추어 보려고 하는데 이것은 의미가 없는 것이다. (특히나 셔터스피드 조정은 노출에 영향을 더욱 미치지 못한다. 이유는 위 5번에) FEL을 사용해서 찍으면 대부분의 경우 적정 노출이 나오고, 그래도 어두울 경우 스트로보 자체의 광량을 올려야 한다.
7. 슬로우 싱크로 300D나 CANON계 DSLR은 스트로보 사용시 AV모드에서 슬로우 싱크로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슬로우싱크로로 찍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스트로보 사용시 AV모드를 사용하면 안된다.) 슬로우 싱크로란 인물과 배경까지 다 잘나오게 하기위해서 느린 셔터스피드를 이용하는 기법을 말한다. 보통의 경우 스트로보의 빛이 인물까지는 닿지만 배경까지는 닿지않므로 배경은 어둡게 나온다. 이때 슬로우 싱크로로 촬영하면 배경까지 밝게 나오게 할 수 있다.
동작과정을 보자면 1. 셔터가 열리면서 스트로보가 발광 (여기서 주 피사체가 기록됨) 2. 스트로보 꺼짐 3. 여전히 셔터는 열려있음 (여기서 롱 셔터로 인해 배경이 기록됨) 4. 셔터 닫힘
위와 같은 과정이다. 그러므로 슬로우 싱크로에서는 셔터스피드가 느리게 작동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 슬로우 싱크로로 찍으면 사진이 흔들리게 되는것이다. 보통 스트로보 사용하면서 평소와 같이 AV모드에서 촬영하고는 사진이 흔들린다고 생각하던 사람은 이와 같은 이유때문이다. 촬영시 주의점은 피사체에게 플래쉬가 꺼지더라도 움직이지 말라고 미리 말을 해두어야 하고, 셔터스피드 확보가 안되므로 삼각대를 사용해서 촬영을 해야한다. 실내에서는 천장바운스를 치면 배경까지 밝게 나오므로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고, 야외에서 많이 사용한다.
8. 바운스 촬영 내장 스트로보를 사용하거나 외장 스트로보를 피사체에 직광으로 사용할 경우 인물은 강시 피부가 되고 배경은 동굴처럼 검어지는 사진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바운스 촬영을 사용한다. 빛을 천장으로 반사시켜 사용하므로 피사체의 색이 자연스러워지고, 그림자가 작아지고, 배경이 살아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바운스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무조건 바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될 수 있으면 직광은 피하도록 하자. 바운스 촬영시에도 E-TTL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단지 거리에 따른 광량조절이 되지않으므로 FEL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광량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스트로보 자체의 광량을 +1스톱 정도 올려주는 경우가 많다. DSLR의 경우 미리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테스트샷을 몇장 날려보고 광량보정치를 결정하자. 본인의 경우 천장높이가 2M이하(주택 거실)의 상황에서는 그대로 사용하고 그 보다 더 높은 경우는 +1에서 +1.5스톱정도 보정한다. (이 부분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실외라던지 천장이 아주 높아서 바운스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옴니 바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도 직광보다는 45도정도 위로 꺽어서 사용하는 것이 본인의 경우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었다. 스트로보 광량조정의 경우 300D는 바디에서 조정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550EX나 시그마 500DG SUP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20EX같은 경우 스트로보에서 광량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300D에서 사용시에는 조금 애로가 따른다. 물론 FEL을 특정 위치에 사용하여 광량을 보정 할 수는 있지만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바디에서 스트로보 광량조정을 할 수 있는 카메라에서는 420EX를 사용하여도 상관이 없다.
9. 화이트밸런스 스트로보 촬영시 커스텀 화밸을 사용하는 경우 스트로보를 터트리면서 화밸사진을 찍어주어야 한다. 바운스의 경우 천장색깔에 따라 화밸이 틀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바운스 시키면서 화밸사진을 찍어주어야 천장색에 따라 달라지는 화밸을 잡을 수 있다.
10. 결혼식 촬영 결혼식촬영에서도 천장이 아주 높은 경우가 아니라면 바운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어쩔수 없는 상황이라면 옴니 바운스를 사용하자. 그냥 직광 때려버리면 신부 얼굴에서 화장이 허옇게 떠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신부의 목에서 화장한 부분과 안한 부분을 구분해주는 라인을 볼 수 있을것이다. 결혼식 촬영에서 특히 주의할 점은 백색인 신부의 드레스와 흑색인 신랑의 턱시도때문에 언더나 오버 노출이 나오기가 쉽다는 점이다. 무조건 얼굴에다 FEL을 사용해서 촬영하자.!!!! 또 천장이 아무래도 높기때문에 바운스시 스트로보 광량을 +1~+2정도 보정해주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 배터리가 빨리 닳으므로 스트로보 배터리는 넉넉히 준비해 둘 것. 카메라 설정은 1/60초, F5.6이면 무난하다. 신부나 신랑 크로즈업등에서는 조리개를 열어서 사용하면 된다.
11. 결론 스트로보 촬영은 많이 어렵다고들 얘기합니다. 또 경험이 많아야 한다고도 합니다. 다만 초보의 입장에서 일반적인 촬영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면 좀 더 손쉽게 스트로보 촬영을 할 수 있으리라 하는 마음에 어설프지만 작성해 보았습니다. 또 DSLR에서는 미리 볼 수 있다는 축복받은 기능이 있으므로 미리 테스트샷을 많이 날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여하튼 스트로보로 인해 방황하는 초보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광복절을 낀 3일 연휴를 그냥 보내기 싫다던 경진이 얘기를 꺼내서... 급조된 무박2일 여행..... 비록 비가 너무 와서....조금 힘들긴 했지만.... 언제 만나두 좋은 사람들과...함께 댕겨서......훌륭한 하루가 완성됐다... 울진에 가서.....대게를 먹기 위해..중간중간 관광지두 구경하구.. 비록 여름 금어기라...러시아산 대게였지만.....맛있드만..ㅎㅎ 다만....대게와 회를 눈앞에 두고..맥주 한잔만 마실 수 있다는게...너무 아쉬웠다..
그래두...야심한 시간에 비오구 안개낀 산길을 우리만 달리던 기억이나... 나 잠깨게 해준다구....둘이 각각 불러주던...차안에서의 독창회....특히나 녕화의 유고걸...ㅋㅋㅋ 모든게...오래도록 기억에 남을듯....
*설치시 참고사항* -핵펌한 후 메뉴에서 언어를 선택하면 카메라가 다운됨 -인스톨시 언어를 일어로 선택하지 않고 핵펌하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음 발생함
원래 펌웨어(정펌)으로 복귀하는 방법 --------------------------------- 0. 정식 펌웨어(ver 1.1.1)를 다운로드 함 -http://web.canon.jp/Imaging/eosdigital/E3kr_firmware-e.html 1. 커스텀 펑션 메뉴를 원상 복구함 -메뉴의 커스텀 펑션 메뉴에서 왼쪽부터 차례로 다음과 같이 설정 / 0,0,0,0,0,1,0,3,0,0,0,0,0,0,0,0,0 2. 정펌 e3kr111.fir 파일을 CF 메모리 루트 디렉토리에 복사함 3. CF 카드 삽입후 전원 ON 4. [SET->OK] [SET->OK]
[참고] 300D A/S 를 받을 경우 해킹 펌웨어 설치된 카메라의 경우 A/S 접수를 거절하는 경우도 있음 따라서 A/S를 희망할 경우 정식 펌웨어로 업데이트 해야 함
Q : 핵펌하기전보다 확실히 좋은점이 있나요? A : iso 3200선택 가능, 원샷모드 선택가능, 플래시 광량조절 가능, 커스텀 버튼 설정가능 (주로 이미지 사이즈 조절이나 파라메터 설정버튼으로 씀..편리하죠.) 미러락업기능 아닐까요. 이 기능들 없으면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Q : 300D핵펌 했는데 내장플레쉬 광량 조절은 어떻게 하나요? A : jump 누르시고 다이얼버튼 돌려보시면 가능합니다.
Q : af 모드 선택시 1)AF OS, 2)AF AI, 3)AF SE 라고 써있는데 1)번이 원샷 AF이고 2)번이 AI FOCUS AF, 그리고 3)번이 서보 AF가 맞나요? 알려주세요... A : 네 맞습니다. 3번 상태에서는 촬영이 안됩니다.
Q : 우선, 정품에 깔려있는게 정펌(?)이던가요? 이런 경우에는 걍 한글 핵펌(E3kr111.fir) 만 있으면 되나요? ( CF에 옮겨서... 등등 ) 글구요. ISO 3200 까지 지원된다고 하던데... 그렇다면 이전 스텝의 ISO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나요? (즉, 노이즈 감소?) 아니면, 단지 3200 이 지원되는 건가요? A : iso3200 이 생길뿐이고 이전 iso는 변화없습니다. 3200은 1600 다음에 H로 표시되지요. 핵펌 하지 않은게 정펌이구요. 여기다 한글 핵펌 하나만 받아서 까시면 됩니다. 먼저 언어는 일어로 바꾸시는것 잊지 마시구요. 일단 핵펌하면 언어선택이 안됩니다. 언어 선택 바꾸면 바로 얼어 붙어요. ^^. 한글핵펌이 기본적으로 일본어에서 폰트만 살짝 바꾼거라서 일본어로 선택하고 핵펌해야 됩니다.
Q : 핵펌을 했는데 문제가 생겼어요. 얼마전 300D 구입 후 핵펌을 했습니다. 그런데 raw 선택이 안됩니다 -_-;; 아예 선택에 raw가 안보이네요. 그리고 버튼 누르면 연사랑 타이머 선택 되잖아요? 그런데.. 핵펌후 안됩니다 ㅡㅡ; 연사가 안나와여;;; 정펌후 다시 핵펌 해야되는건가요? A: 오토모드에서 raw파일, 연사 선택이 안됩니다.
Q : 다운로드된 펌웨어 파일을 어떻게 CF 카드에 복사합니까? A : 다운로드된 펌웨어 파일은 2가지 방식으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1. CF 카드 리더나 PC 카드 리더* 또는 PC 카드 슬롯을 가진 노트북 종류의 PC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펌웨어 파일을 새로 포맷된 CF 카드에 복사하여 주십시오. 2. 만일 위의 장비들을 하나도 갖고 있지 않으면 카메라를 USB 케이블*로 PC에 연결하여 카메라에 들어있는 CF 카드에 펌웨어 파일을 복사하십시오. 복사를 위해 "UploadFirmware**"(유틸리티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USB로 연결하려면 카메라와 함께 제공된 인터페이스 케이블 IFC-300PCU가 필요합니다. ** Upload Firmware의 매킨토시 버전은 Mac OS 9.0에서 9.2가 필요합니다.
Q : 커스텀 기능 메뉴중 4번째에 셔터버튼/AE락버튼이 있잖아요. 정확히 어떤 기능을 말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0 : AF/AE lock 1 : AE lock / AF 2 : AF/AF lock, no AE lock 3 : AE/AF , no AE lock
선막동조와 후막동조의 차의점도
마지막으로.. 17번 메뉴인.. 렌즈 AF 정지버튼기능에 대해서.. 0 : AF stop 1 : AF start 2 : AE lock while metering 3 : AF point : M -> auto/auto -> ctr 4 : ONE SHOT = AI SERVO 5 : IS start
귀찮으시더라도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A : C.Fn-17 렌즈 AF 정지 버튼 기능 => Af 정지 버튼은 슈퍼망원렌즈에만 제공됩니다. 0 : AF stop
1 : AF start AF 는 AF 정지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작동합니다. 버튼을 누르고 있는동안 카메라에 있는 AF 기능이 비활성화 됩니다.
2 : AE lock while metering 측광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버튼을 누르면 AE 잠금이 적용됩니다. 초점맞추기와 측광을 따로 하고자 할 경우에 편리합니다.
3 : AF point : M -> auto/auto -> ctr 수동 AF 포인트 선택 모드에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자동 Af 포인트 선택으로 전환됩니다.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수동 Af 포인트 선택에서 자동 Af 포인트 선택으로 즉시 전환됩니다. Ai Servo Af 모드에서 수동으로 선택한 AF 포인트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초점 추적할 수 없을때 편리합니다. 자동 AF 포인트 선택 모드에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즉시 중앙 AF 포인트가 선택됩니다.
4 : ONE SHOT = AI SERVO 원샷 AF 모드에서는 이 버튼을 누르고 잇는 동안만 Al Servo AF 모드로 전환됩니다. Al Servo AF 모드에서는 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원샷 AF 모드로 전환됩니다. 움직임과 멈춤을 반복하는 피사체를 위해 원샷AF 와 Al Servo Af 를 계속 전환을 반복해야 하는 경우에 편리합니다.
5 : IS start 렌즈의 IS 스위치를 켜놓은 상태에서 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만 이미지 스태빌라이저가 작동합니다.
1 : AE lock / AF 초점 맞추기와 측광을 따로 하고자 할 경우에 편리합니다. 자동 초점을 하려면<*>을 누르고 AE 잠금을 하려면 셔터를 반누름 하십시오
2 : AF/AF lock, no AE lock Al Servo AF 모드에서 <*>버튼을 눌러 AF 작동을 잠시 멈출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AF 가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를 지나가는 장애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노출 은 촬영되는 순간에 설정됩니다.
3 : AE/AF , no AE lock 이것은 움직임과 멈춤을 반복하는 피사체에 유용합니다. AI Servo AF 모드에서는 <*>버튼을 눌러 AI Servo AF 기능을 시작하거나 멈출수 잇습니다. 노출은 촬영되는 순간에 설정됩니다. 그러므로 결정적인 순간을 기다리면 초점 맞추기와 노출이 항상 최적이 될 것입니다.
+C.Fn-04 와 C.Fn-17-0,1,2는 모두 AF 시작/멈춤 기능과 AE 잠금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이들 두 커스텀 기능을 모두 설정한 상태에서 이 두 기능을 실행하면 나중에 실행한 것 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유일한 예외는 AF 가 시작한 다음 AF 멈춤이 실행되는 경우입니다.
Q : 미러 락업기능이란 것이 있는데 이 기능을 쓰면 무엇이 좋아지는거죠? A : 느린 셔터를 이용해야하는 야경촬영등에서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삼각대를 쓰죠. 그럼에도 미러가 상하운동을 하는 SLR의 특성상 미러쇼크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미러락업은 미러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미러를 올린 후 진동이 사라지는 2초정도 후에 셔터를 개방하는 기능입니다. 이 시간 동안은 뷰파인더가 미러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량하의 촬영에서는 필요없는 기능이고요. 멀리 떨어진 사물, 예를 들면 달, 을 찍을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Q : af기능 중 원샷기능이 무엇인가요? A : One Shot AF라는 건, 반셔터시 촛점이 고정되어 구도를 바꾸더라도 촛점이 변경되지 않는 걸 말합니다. 참고로 AI Servo AF는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서 촛점이 변경되는 걸 말하고요. AI Focus AF는 One Shot AF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카메라가 감지했을 때 AI Servo AF로 자동전환되는 걸 말합니다. 300D는 크리에이티브 존에서 AI Focus AF만이 지원되므로 촛점을 잡고 구도변경시 촛점이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핵펌에서는 One shot AF로 고정시키는 기능이 추가된 겁니다.
Q : 핵펌하기전보다 확실히 좋은점이 있나요? A : iso 3200선택 가능, 원샷모드 선택가능, 플래시 광량조절 가능, 커스텀 버튼 설정가능 (주로 이미지 사이즈 조절이나 파라메터 설정버튼으로 씀..편리하죠.) 미러락업기능 아닐까요.
Q : 300D 핵펌하고 나면 측광 방식도 바뀌나요? A : 핵펌전과 동일합니다. 측광은 M모드에선 중앙부평균, AE락 사용시 중앙 9%스팟, 오토이하의 기능 사용시는 전체 평균입니다.
이번 버전에서 새로와진 것은 베이직모드에서 화이트 밸런스, 연사, RAW 촬영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베이직 모드를 잘 사용하지 않는 특성상 인기가 안좋을거 같네요.
몇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1. 메뉴 언어를 바꿀시에 멈춤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알고 있는 사실이죠.) 2. 영어 메뉴가 아니면 특정 기능을 못쓸 수 있습니다. 3. 핵펌후 기능 이상징후가 나타나면 원래 셋팅값으로 바꾸고, 오리지날 펌웨어로 교체하세요. 4. 전버전과 달리 SET 버튼을 FEC로 쓸 수 있습니다. 5. 미러락업이 동작안하면 연사모드를 해제하세요. 6. 미러락업후 플래시를 사용하면 미러가 올라가고 셔터가 열릴때 터집니다. 7. 미러락업 시간설정 메뉴에서 화살표가 보이는데, 무시하세요. 8. 빠른 지우기 기능은 배터리 모니터링 코드를 사용하므로 실제와는 다르게 LCD에서 LOW 배터리 표시가 될 수 있습니다.(배터리 아이콘이 깜빡 깜빡) 9. 커스텀펑션의 번호는 다르지만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10. 베이직모드에서 RAW로 바꾸면, 다운됩니다. 심각한 장애는 아니므로 그냥 카메라를 끄세요. 필요하다면, 배터리를 빼서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바꾼후 다시 넣으세요. 11. AF-SE 모드로 사용할땐 초점 지시등이 켜지지 않고, 소리도 안납니다. 소리가 나고 불이 켜지길 원한다면 AF-AI 나 AF-OS 으로 바꾸세요.
이정도네요. 카메라가 다운되는 1번 항목하고, 10번 항목을 주의하시고요. 배터리 경고가 오작동 할 수 있다는것에 주의하하세요.
이전 버전에서 개선된 문제 1. 미러락업시 10초에서의 동작 문제 개선 2. 오른쪽 버튼의 표시 제거(마치 측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 같은 뉘앙스를 줬었죠) 이젠 아무것도 안한다는 뜻 ㅡ.ㅡ(애초에 생각이 없었나?) 3. 이젠 베이직모드에서, RAW, 화이트 밸런스, 연사가 가능
핵펌이후 사용가능한 커스텀 펑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CF1. 촬영모드에서 SET 버튼의 기능할당 CF2. CF가 슬롯에 없을때 셔터의 동작 여부 CF3. AV 모드에서 플래시 싱크 CF6. 노출보정 스텝 CF8. RAW 촬영시 임베디드 JPG의 품질 결정 CF12. 미러락업 CF17. 미러락업 시간 결정
그 외의 커스텀 펑션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가능한 기능은 1. JUMP 버튼으로 FEC 가능 2. ISO 버튼으로 ISO 3200 가능(H 로 표시) 3. 즉시 지우기(리뷰시 휴지통 버튼으로) 4. 포커스 모드 AF OS - 원샷 포커스 AF AI - 인공지능 포커스 AF SE - 동체 추적 포커스 왼쪽 버튼으로 조정합니다. ~~~~~~~~~~~~~~~~~~~~~~~~~~~~~~~~ (이전 버전에서 동작 가능한 것들)
5. 베이직 모드에서 연사 가능 6. 베이직 모드에서 화이트 밸런스 선택 가능 7. 베이직 모드에서 화이트밸런스 브라케팅 가능(단 설정은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 가능)
회사가 상암동으로 이사와서..주로 회사사람들간의 저녁모임은.. 홍대 부근에서 하곤 하는데....핫썬베이크치킨을 소개받아(?) 갔었다.. 최근 몇년간 먹었던 치킨 중....단연 최고~!
3월 3일... 어느샌가..코리아닷컴 여직원 중 - 입사순으로는 - 짱먹은 경진이의.. 퇴사 및...생일 기념파티... 1차 저녁을 먹구나서....베이크 치킨으로 이동해서 케잌 커팅 및 선물 전달..
0123456
입사도 좀 특이한 과정을 밟았는데...일을 같이 하게 되면서 친해지구... 일적으로도 잘 맞구...취미가 겹치는 부분도 있었구....나이는 4살 차이났는데.. 코드..가 잘 맞았던거 같다.. 저 넘의 코리아닷컴 2년 7개월 중....거의 1년 7개월을..같이 일했는데... (1년간 내가 다른 회사 다녀서...) 사실 재입사에도..꽤나 영향을 준 녀석이....퇴사한다니.... 참..잘된일임에도...축하해주다가...서운한 마음이 앞서곤 한다.. 서운한 마음은..어디까지나...내가 심심할까봐..인거같다..ㅋ
이제 다른 사람이랑 다시 호흡맞춰 일해야하는데...ㅎ... 아무래두 한동안은...좀 거시기할 듯 하다... 길들여져서...라고도 할 수 있을까...